• 최종편집 2024-04-26(금)
 

아래는 산림청의 아주 엉터리 홍보자료, 아니 거의 사기수준의 홍보자료 입니다. 왜냐하면 벌목 부산물의 수집 문제는 임도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자료에서 임도 이야기는 한마디도 없죠. 

 

ss.jpg

 

벌목 부산물은 임도가 없으면 거의 수집 불가능입니다. 혹시 가능하다면 도로 또는 임도 인근 산림입니다. 그러나 마치 모두 가능한 것처럼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죠. 수집방법에 대해 산림과학원 산림기술사 들의 자문 운운 하고 있는 것입니다. 웃기는 소리입니다. 국사유림에 그냥 임도를 내면 됩니다. 그 많은 예산 어디에 사용합니까? 돈이 부족하면 국민 설득해 아니면 대통령을 설득하여 예산을 마련하면 됩니다. 문제의 벌목된 목재 부산물의 수집은 이미 50년전부터 임도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산림청 공무원은 산림 전문가입니다. 산림과학원 직원들은 산림 전문 박사들입니다. 이런 전문가가 수백명 포진해 있죠. 그동안 이런 사소한 벌목 부산물 수집 문제 하나 모르고 있었겠습니까? 이런 벌목후 부산물 수집 문제는 일반인도 다 압니다. 길이 있어야 거기에 트럭이 들어가고 위에서 아래로 끌어내려 차량에 실으면 되는 것입니다. 전문가 들의 자문 어쩌고 하지 말고 임도가 없어 애로사항이 많다고 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참내

 

한가지 더 말씀을 드리면 벌목후 목재부산물의 현장 방치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겠습니까? 놀라지 마십시요. 산불이 나면 대형 산불로 번지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산마다 나무의 잔가지 또는 소형 원목들이 널려 있죠. 여기에 불이 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산림청은 산불 예방 또는 신속진화에 사활을 걸겠다고 하는데 이 말도 사기 또는 웃기는 이야기입니다. 당장 벌목 부산물 수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도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또 문제는 현장에 방치하는 벌목 부산물이 엄청 많죠. 이 부산물은 펠릿이나 MDF 재료입니다. 

 

그러나 산림청은 멀쩡한 국산 원목을 용재로 공급하지 않고 펠릿 또는 MDF 나아가 화력 발전용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벌목 부산물은 반드시 끌어내려야 합니다. 현장방치가 없어야 대형산불이 줄어들고 그 부산물은 펠릿등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산림 현장에 왜 나무의 잔가지 또는 소형 원목이 방치되어 있을까요? 네 그것은 육림과정에서 발생한 것입니다. 즉 숲가꾸기 들어 보셨죠? 네 바로 숲가꾸기 때문입니다. 또는 개벌이라고 하는데 그 지역 일대 산림의 나무를 모조리 벌목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다른 수종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산림청은 숲가꾸기로 한해 500억원 이상을 사용합니다.

 

- 아래는 관련 홍보자료

 산림에서 목재(원목)를 생산하고 나면 가지와 같은 부산물이 남는데 수집비용이 많이 들고 이용 가치가 낮아 그동안 대부분 산림에 방치하였다.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이렇게 방치되는 부산물을 대체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2018년부터 미이용 산림생물에너지원(산림바이오매스)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미이용 산림생물에너지원(산림바이오매스)에는 가지류, 산불·산림병해충 피해목 등 산림사업을 통해 나온 다양한 산물이 포함된다.


산불 피해목은 산림소유자가 시장 여건을 고려해 매각하고, 긴급벌채지는 피해 정도 등에 따라 품등으로 활용 용도가 구분된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반출금지구역 내에서는 원목 상태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파쇄 처리해 미이용 산림생물에너지원(산림바이오매스)으로 활용될 수 있다. 


미이용 산림생물에너지원(산림바이오매스)을 활용해 목재펠릿 등을 생산․활용할 경우는 수집단계부터 행정청의 허가를 받고 최종 수집량을 증명서로 발급받아야 한다. 


산림청은 수집 현장 점검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사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의 자문(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자문단 운영을 통해 제도적 보완 사항을 발굴하고,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줄여나갈 예정이다. 


 산림청 심상택 산림산업정책국장은 “미이용 산림생물에너지원(산림바이오매스)은 이용 가치가 낮은 산물을 활용하는 장점을 가진 제도이니만큼, 앞으로 건전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현장점검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 법률 개정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림청의 사기수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