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Home >  오피니언 >  목재칼럼
실시간뉴스
실시간 목재칼럼 기사
-
-
"사업은 아무나 하나요?"
- "사업은 아무나 하나요?" 인간관계, 이 말만 들어도 긴장이 됩니다. 인간관계에 별 신경 안쓰고 살려면 그런 직업을 가져야 하나 봅니다. 그래도 저 인간 괜찮은 사람이지 하는 말을 듣고는 살아야겠지요. 그러려면 인간관계는 사람이 사는 곳이면 어느곳이든 신경쓰고 살아야 하나 봅니다. 특히 사업에서 중요합니다. 전 창간 후 15년 목재신문을 운영하다 급성심근경색이 와서 그만 두었지요. 그 15년동안 신문도 잘 만들고 열심히 노력도 해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인간관계였지요. 오죽하면 15도로 고개 숙이고 인사하면 광고가 나오고 30도로 머리를 숙이고 인사하면 광고를 연장시킵니다. 80도로 허리와 고개를 숙이고 인사하면 형님 동생하는 사이가 되어 광고주를 줄줄이 데리고 오더라 라고 전 웃으며 말하곤 했지요. 여기서 깨달은 것이 사업을 하려면 만만한 사람이 되어라 입니다. 상대방이 나를 만만하게 보아야 한다 는 것이죠. 첫 만남 부터 부담이 되면 안되고 계속 만나면서도 부담이 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 부담이라는 것이 몸짓 손짓 얼굴표정 행동 약속 여러가지가 있지요. 아마 이명박 전 대통령이 이런 부류의 사람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무리 겸손한 사람도 사업이 성공하여 직원 수십명 거느리다 보면 그때부터 목에 힘이 들어가고 몸놀림이 사장으로 변하게 됩니다. 자기도 모르게 말입니다. 열대우림지역의 원숭이가 대장이 되면 등에 황금색의 털이 나듯이 말입니다. 이때부터 자신을 철저하게 경계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사업하는 사람은 만만하게 보여야 사람들이 따르고 오고 정을 주고 그렇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행동을 억지로 한다고 만만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그래서 사업은 아무나 하나 장사는 아무나 하나 라는 말이 생긴 모양입니다. 사업도 적성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죠. 인간관계가 좋아야 사업을 할수 있는 적성을 가졌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그런 생활을 자기 적성에 잘 맞아 그런 시간 시간들을 즐기는 것이죠. 즐기면서 사업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적성에 맞지 않는 사람은 억지로 웃고 인사하고 아양을 떨다보면 이것도 한두번이지 일년 이년 삼년 계속할수는 없는 것이죠. 저처럼 병이 들어 죽을 것입니다. 전 다행이 살아남아 이제 저를 알게 되고 사람 만남을 되도록 피하고 시인이 되어 글이나 쓰며 사는 것입니다. 결론입니다. 사업도 적성에 맞아야 합니다. 잘 판단해야 하죠. 적성에 맞지 않으면 사업을 못할까요? 꼭 그렇지는 않는것 같아요. 사람을 잘 활용하면 됩니다. 잘 부려야 해요. 사업의 방법론이죠. - 김종호 작가
-
- 오피니언
- 목재칼럼
-
"사업은 아무나 하나요?"
-
-
목재사업이 그래도 돈 벌 가능성 커
- 목재사업이 그래도 돈 벌 가능성 커 제 나이가 한국나이로 육땅입니다. 목재업에 17여년 종사해 보니 목재만큼 돈벌기 쉬운 사업도 없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목재사업 하는 사람들 대부분 돈 법니다. 그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엔 목재회사에 근무하다가 가는길을 배우고 난후 스스로 걸어 갑니다. 길을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난 길을 걸어 갑니다. 그러니 가시도없고 큰 내도 없습니다. 그냥 성실하게 황소처럼 가기만 하면 되죠. 그렇게 하면서 돈만 생기면 땅사고 돈만 생기면 땅사고 살다보면 어느덧 부자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목재는 수입목재가 90%가 넘습니다. 대부분 수입하죠. 수입국가는 중국 동남아시아 미국 러시아 뉴질랜드 호주 독일 일본 등입니다. 수입대행해주는 사람에게 수수료를 주고 수입하는 사람도 있고 직수입하는 사람도 있지요. 아무래도 직수입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중국이라면 목재기업 대표가 중국 현지 공장으로 가 샘플을 내 놓고 이렇게 만들어 주세요 하고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죠. 15년 전만 해도 이런 방법이 떼돈을 버는 지름길이었으나 누가 한번 떼돈을 번다하면 너도나도 덤벼들기 때문에 이제 일상사 된 것이죠. 오히려 중국 현지 공장을 두고 자국 기업끼리 다투는 일도 있습니다. 그렇다 보면 생산 단가만 올라가는 것이죠. 목재는 단위가 커서 매출금액도 큽니다. 보통 연간 100억이 넘습니다. 100억 매출에 마진이 10%만 되어도 10억인데 요즘은 그렇지 못하죠. 단가싸움이 치열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단가 싸움이 치열하다 해도 틈새가 있지요. 어떤 사람은 낙엽송 합판을 만들어 대박이 나고, 어떤 사람은 원목단판을 만들어 대박이 나고 어떤 사람은 목재조각으로 색동 누정을 만들어 먹고 살고 어떤 사람은 인테리어 자재를 경쟁력 있게 만들고 그렇게 계속 진화하며 큰돈을 법니다. 제가 보았을땐 목재업계가 돈벌기 좀 수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아무리 경쟁이 심할 지라도 말입니다. - 김종호 작가
-
- 오피니언
- 목재칼럼
-
목재사업이 그래도 돈 벌 가능성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