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Home >  목재 >  목재산업
-
2023년 파렛트의 날(11월 12일), 기념 행사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이하 KPCA, 회장 서병륜)는 지난 11월 6일(월) 파렛트의 날(11월12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B2 국제회의장에서 ‘제20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 제10회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KPCA가 주최하고, KPCA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국토교통부, 물류신문사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올해 행사부터는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표창 3점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 4점이 추가되었으며, 행사는 총 3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는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발표심사, 2부는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3부‘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과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시상이 진행되었다.
-
창원시에서 발견된 흰개미, 10년전 유입 추정
창원시 진해주 주택에서 발견된 흰개미는 정부 조사 결과 10년 전 국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창원시 진해구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에 대해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범정부 합동 역학조사 결과를 9월 26일 공개했다. 이번 합동 역학조사는 환경부(국립생태원, 낙동강유역환경청), 농림축산검역본부,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원),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창원시청, 한국특수견탐지센터, 한국방역협회가 참여했다. 정부 합동 역학조사 연구진은 지난 9월 5일 최초 발견된 세대 및 주변 지역에 대해 터마트랙을 활용한 합동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초 발견 세대에서는 추가 개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주변 지역 2곳에서 동일 종 외래흰개미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최초 발견지 50m 인근 주택의 외부 목재 창틀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69마리, 최초 발견지 90m 인근 주택의 지붕 하부 목재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54마리의 군체가 각각 확인되었으며 해당 목재는 모두 해체 및 소각되었다. 터마트랙는 초음파로 목재 내부 흰개미의 진동을 감지하여 흰개미 유무를 판별하는 흰개미 전문 탐지 장비를 말한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그 외 지역(최초 발견 세대 반경 100m)에서는 외래 흰개미가 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외래 흰개미의 종 특성 및 군체 규모를 고려했을 때 최소 10년 전 국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미 정착했을 우려도 있는 만큼 정기적인 감시(모니터링)와 방제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당 지역에 외래흰개미 관련 자료를 배포하여 일반 주민도 외래 흰개미 의심 개체를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외래 흰개미는 정밀 종 분석 결과 서부마른나무흰개미(가칭, Incisitermes minor)로 밝혀졌으며, 원 서식지(미국)에서는 주로 가을에 군비를 하는 특성이 있다. 정부는 이번 최초 발견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인근 지역 방역을 실시하여 군비를 통한 추가 개체 확산을 예방할 계획이다. 또한, 인근 문화재에 대해서도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피해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혼인비행이란 흰개미·개미·벌 등 사회성 곤충이 교미를 위하여 실시하는 비행(혼인비행, swarm)이다. 김명관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흰개미는 목조 주택을 가해하는 해충이지만 자연에서는 죽은 나무, 낙엽 등을 분해하여 토양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 익충”이라면서, “국내에는 순수 목조 주택이 많지 않아 초기 발견 및 방제가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해외 사례와 같은 큰 피해는 예방할 수 있으니 외래 흰개미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지자체 및 국립나무병원(02-961-2677)에 신속한 신고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
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 2030 로드맵 선언식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은 지난 8월 30일에 APSF 사무국이자 회장국인 대한민국에 서울 가든호텔에서‘제18차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Asia Pallet System Federation, 이하 APSF) 정기총회 및 2030 로드맵 선언식’을 개최하였다. 서병륜 APSF 회장은 지난 2대(2008~2010)와 3대(2010~2012) 회장직을 맡은 적이 있었으며, 작년 총회에서 9대(2022~2024) 회장에 선출되어 지금까지 3회째 APSF 회장을 맡아, 아시아 물류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서병륜 회장은 이날 총회에서 “APSF 회장직을 맡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총회를 개최하게 되어 영광이며, 아시아 경제발전을 위해 아시아 지역에 친환경적인 파렛트 유닛로드 공동 물류시스템구축을 통한 아시아 순환물류체계를 확대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으며, 2030년까지 각 국의 로드맵 목표를 수립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전하며, “파렛트 재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량에 대해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평가) 분석을 통해 탄소배출 권리를 확보할 것이며, APSF 회원국 기준으로 100억매의 잠재적인 파렛트 시스템 시장을 활성화 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리고 “2006년 창립된 APSF의 사업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초창기에 추진하였던 아시아 ‘유닛로드스쿨(Unit Load School)’ 활동을 고도화된 ‘사이버 유닛로드스쿨’ 강좌로 다시 개설하여 파렛트 시스템 전문가를 양성하고, 아시아 국가 간에 표준 파렛트 풀링 시스템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아시아 국가 간 무역 활동에 APSF 일관수송용 표준 파렛트를 사용하고, 파렛트의 관세면제를 도입하기 위한 국제제도”를 만들 것이며, 그 외에도 온실가스 위기에 처한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친환경 파렛트 시스템 방안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하였다. 그리고, “물류선진국 기준 1인당 2.5매의 파렛트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APSF 회원국의 40억 인구를 통한 100억매의 잠재적인 파렛트 시스템 시장을 개척하고 활성화 하겠다.”고 밝혔다. APSF는 2006년 6월 8일 일본 동경에서 KPCA가 주도한 아시아 파렛트 표준화 추진을 위한 국제기구로 아시아 6개국 대표가 참가하여 협의 및 논의 끝에 창립되었다. 이를 통해, APSF는 한·중·일을 포함한 아시안들의 국가 간 일관 수송용 파렛트를 통한 물류 및 유통표준과 통합 유닛로드시스템(ULS, Unit Load System)을 지원하는 핵심 국제기구로 현재 KPCA가 사무국을 맡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2019년 대면총회를 마지막으로 4년만에 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제18차 APSF 정기총회는 8개국(한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회원국에서 60여 명, 국내에서는 KPCA 회원사를 중심으로 49명의 관계자가 참석하였으며, APSF 회장국인 대한민국의 서병륜 회장의 개회사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유통물류과 김정기 과장의 특별초청 연설로 시작됐다. 이어 각 국가별 ‘2030 Roadmap’의 발표가 있었다. 서병륜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아시아 파렛트 친환경 시스템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후변화 위기와 탄소중립 정책, △아시아권 순환물류체계(RTS) 추진, △아시아 파렛트시스템의 탄소배출권 확보방안, △향후 글로벌 확대 방향 △‘2030 Roadmap’ 등을 발표했다. 이어 KPCA의 ‘유닛로드시스템 편람(영문)’의 발간을 축하하며 APSF 각 국가별 대표단에게 배부하였다. 이 편람은 위에서 설명한 APSF의 회원국‘유닛로드 스쿨’의 교재를 사용 될 예정이다. 이후 중국, 일본, 한국, 필리핀, 태국 순으로 각국 대표단들이 주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대표단들은 각국의 파렛트 산업 현황과 통계, 관세절차 등 파렛트 운용에 관련한 주요 정보와 변동 사항을 소개했다.
-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 개최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8월 24일부터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산림청이 주최하고, (사)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에서 주관하며, 한국국제가구·인테리어산업대전(KOFURN)과 동시 개최한다. 올해 13회를 맞는 목재산업 박람회는 목재산업 및 전‧후방 산업간 교류를 증진하여 국내 목재산업의 판로를 개척하고, 생활 속 목재이용 문화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목재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산림청에서 조성하는 건축물에 대하여 목조건축화 선언식(8.25)을 개막식과 함께 개최하여 목재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를 형성할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목재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생활 속의 숲’이며, 친환경 소재로서 목재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라며, “목조건축화 선언식을 통해 공공분야에서부터 목조건축을 확대하여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
남성현 산림청장(왼쪽에서 일곱번째)이 5일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열린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식'에서 육동한 춘천시장(왼쪽에서 아홉번째) 등 주요 참석자들과 색줄자르기를 하고 있다. 남 청장은 "춘천목재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선도산림경영단지에서 나오는 국산목재를 활용하여 지역경제가 발전하고, 목재산업단지가 탄소중립 실현의 플랫폼이 되 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사진=산림청 제공>
-
PB의 수입은 여전히 태국에서
지난 4월말 기준 MDF PB OSB 등 보드류의 국내 수입은 전년 대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목재합판유통협회는 이같은 정보를 관세청 자료를 통해 알려왔다. 이 자료를 보면 PB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태국에서 그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PB는 오랜기간동안 태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다. 이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비롯 베트남에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OSB는 루마니아와 말레이시아에 이어 캐나다에서 수입이 되고 있다. MDF도 역시 태국에서 수입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베트남과 중국에서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2023년 4월 국가별 PB (4410.11). 기타 (4410.19.4410.90))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태국 83,827 11,891 379,988 53,440 1,033,172 189,816 1,164,956 219,292 루마니아 - - - - 3 10 9 23 말레이시아 1,109 176 6,418 1,042 26,667 5,448 44,614 8,422 미국 1 - 1 - 150 93 17 29 베트남 1,304 267 3,165 661 717 148 280 61 브라질 - - - - - - - - 중국 162 50 604 194 1,421 687 29,685 6,252 칠레 - - - - - - - - 싱가포르 26 8 51 16 49 15 146 38 인도네시아 4,818 601 7,061 887 50,894 8,325 39,710 6,394 스페인 - - - - - - 5 8 이탈리아 83 88 103 161 1,041 1,298 252 486 독일 - 2 2 11 - 31 400 205 기타 22 64 30 87 191 189 1,163 491 계 91,352 13,147 397,423 56,499 1,114,305 206,060 1,281,237 241,701 ㎥ : 65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2023년 4월 국가별 OSB (4410.12) 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루마니아 201 68 2,505 697 20,051 6,956 15,736 4,672 말레이시아 1,509 293 4,412 867 21,861 5,825 17,218 3,976 미국 - - 918 386 207 97 648 646 캐나다 1,437 521 4,212 1,491 1,199 585 3,801 1,900 브라질 - - 188 59 5,253 2,053 2,980 1,190 중국 331 94 557 164 6,620 2,579 32,409 11,260 태국 359 57 538 91 28,616 5,781 14,577 2,751 독일 189 74 1,102 328 346 113 74 19 칠레 - - - 2 10,900 4,562 8,896 3,109 기타 1 4 1 4 6,947 2,723 4,166 1,441 계 4,027 1,111 14,433 4,089 102,000 31,274 100,505 30,964 ㎥ : 65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2023년 4월 국가별 MDF (4411) 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중국 830 475 5,434 2,654 24,654 12,387 26,924 13,532 인도네시아 59 39 583 273 1,513 774 2,414 663 호주 247 85 485 170 256 163 687 264 태국 15,338 3,498 64,712 14,625 142,758 38,012 136,445 33,908 말레이시아 142 61 763 347 3,202 1,519 4,555 1,990 칠레 - - - - - - - - 스웨덴 - - - - 19 28 63 90 미국 - - 4 37 77 93 28 86 독일 38 76 307 342 284 372 1,270 1,435 포르투갈 - - - - 74 75 33 34 러시아연방 43 72 44 72 19 27 28 37 베트남 1,736 1,278 5,629 4,389 24,566 18,357 25,474 14,434 뉴질랜드 32 9 168 68 222 97 1,475 326 루마니아 - - - - - - - - 기타 120 179 526 821 1,988 2,613 3,003 4,199 계 18,585 5,772 78,655 23,798 199,632 74,517 202,399 70,998 ㎥ : 70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
-
2023년 파렛트의 날(11월 12일), 기념 행사
-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이하 KPCA, 회장 서병륜)는 지난 11월 6일(월) 파렛트의 날(11월12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B2 국제회의장에서 ‘제20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 제10회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KPCA가 주최하고, KPCA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국토교통부, 물류신문사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올해 행사부터는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표창 3점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 4점이 추가되었으며, 행사는 총 3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는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발표심사, 2부는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3부‘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과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시상이 진행되었다.
-
- 목재
- 목재산업
-
2023년 파렛트의 날(11월 12일), 기념 행사
-
-
창원시에서 발견된 흰개미, 10년전 유입 추정
- 창원시 진해주 주택에서 발견된 흰개미는 정부 조사 결과 10년 전 국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창원시 진해구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에 대해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범정부 합동 역학조사 결과를 9월 26일 공개했다. 이번 합동 역학조사는 환경부(국립생태원, 낙동강유역환경청), 농림축산검역본부,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원),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창원시청, 한국특수견탐지센터, 한국방역협회가 참여했다. 정부 합동 역학조사 연구진은 지난 9월 5일 최초 발견된 세대 및 주변 지역에 대해 터마트랙을 활용한 합동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초 발견 세대에서는 추가 개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주변 지역 2곳에서 동일 종 외래흰개미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최초 발견지 50m 인근 주택의 외부 목재 창틀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69마리, 최초 발견지 90m 인근 주택의 지붕 하부 목재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54마리의 군체가 각각 확인되었으며 해당 목재는 모두 해체 및 소각되었다. 터마트랙는 초음파로 목재 내부 흰개미의 진동을 감지하여 흰개미 유무를 판별하는 흰개미 전문 탐지 장비를 말한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그 외 지역(최초 발견 세대 반경 100m)에서는 외래 흰개미가 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외래 흰개미의 종 특성 및 군체 규모를 고려했을 때 최소 10년 전 국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미 정착했을 우려도 있는 만큼 정기적인 감시(모니터링)와 방제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당 지역에 외래흰개미 관련 자료를 배포하여 일반 주민도 외래 흰개미 의심 개체를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외래 흰개미는 정밀 종 분석 결과 서부마른나무흰개미(가칭, Incisitermes minor)로 밝혀졌으며, 원 서식지(미국)에서는 주로 가을에 군비를 하는 특성이 있다. 정부는 이번 최초 발견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인근 지역 방역을 실시하여 군비를 통한 추가 개체 확산을 예방할 계획이다. 또한, 인근 문화재에 대해서도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피해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혼인비행이란 흰개미·개미·벌 등 사회성 곤충이 교미를 위하여 실시하는 비행(혼인비행, swarm)이다. 김명관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흰개미는 목조 주택을 가해하는 해충이지만 자연에서는 죽은 나무, 낙엽 등을 분해하여 토양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 익충”이라면서, “국내에는 순수 목조 주택이 많지 않아 초기 발견 및 방제가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해외 사례와 같은 큰 피해는 예방할 수 있으니 외래 흰개미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지자체 및 국립나무병원(02-961-2677)에 신속한 신고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
- 목재
- 목재산업
-
창원시에서 발견된 흰개미, 10년전 유입 추정
-
-
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 2030 로드맵 선언식
-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은 지난 8월 30일에 APSF 사무국이자 회장국인 대한민국에 서울 가든호텔에서‘제18차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Asia Pallet System Federation, 이하 APSF) 정기총회 및 2030 로드맵 선언식’을 개최하였다. 서병륜 APSF 회장은 지난 2대(2008~2010)와 3대(2010~2012) 회장직을 맡은 적이 있었으며, 작년 총회에서 9대(2022~2024) 회장에 선출되어 지금까지 3회째 APSF 회장을 맡아, 아시아 물류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서병륜 회장은 이날 총회에서 “APSF 회장직을 맡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총회를 개최하게 되어 영광이며, 아시아 경제발전을 위해 아시아 지역에 친환경적인 파렛트 유닛로드 공동 물류시스템구축을 통한 아시아 순환물류체계를 확대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으며, 2030년까지 각 국의 로드맵 목표를 수립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전하며, “파렛트 재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량에 대해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평가) 분석을 통해 탄소배출 권리를 확보할 것이며, APSF 회원국 기준으로 100억매의 잠재적인 파렛트 시스템 시장을 활성화 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리고 “2006년 창립된 APSF의 사업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초창기에 추진하였던 아시아 ‘유닛로드스쿨(Unit Load School)’ 활동을 고도화된 ‘사이버 유닛로드스쿨’ 강좌로 다시 개설하여 파렛트 시스템 전문가를 양성하고, 아시아 국가 간에 표준 파렛트 풀링 시스템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아시아 국가 간 무역 활동에 APSF 일관수송용 표준 파렛트를 사용하고, 파렛트의 관세면제를 도입하기 위한 국제제도”를 만들 것이며, 그 외에도 온실가스 위기에 처한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친환경 파렛트 시스템 방안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하였다. 그리고, “물류선진국 기준 1인당 2.5매의 파렛트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APSF 회원국의 40억 인구를 통한 100억매의 잠재적인 파렛트 시스템 시장을 개척하고 활성화 하겠다.”고 밝혔다. APSF는 2006년 6월 8일 일본 동경에서 KPCA가 주도한 아시아 파렛트 표준화 추진을 위한 국제기구로 아시아 6개국 대표가 참가하여 협의 및 논의 끝에 창립되었다. 이를 통해, APSF는 한·중·일을 포함한 아시안들의 국가 간 일관 수송용 파렛트를 통한 물류 및 유통표준과 통합 유닛로드시스템(ULS, Unit Load System)을 지원하는 핵심 국제기구로 현재 KPCA가 사무국을 맡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2019년 대면총회를 마지막으로 4년만에 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제18차 APSF 정기총회는 8개국(한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회원국에서 60여 명, 국내에서는 KPCA 회원사를 중심으로 49명의 관계자가 참석하였으며, APSF 회장국인 대한민국의 서병륜 회장의 개회사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유통물류과 김정기 과장의 특별초청 연설로 시작됐다. 이어 각 국가별 ‘2030 Roadmap’의 발표가 있었다. 서병륜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아시아 파렛트 친환경 시스템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후변화 위기와 탄소중립 정책, △아시아권 순환물류체계(RTS) 추진, △아시아 파렛트시스템의 탄소배출권 확보방안, △향후 글로벌 확대 방향 △‘2030 Roadmap’ 등을 발표했다. 이어 KPCA의 ‘유닛로드시스템 편람(영문)’의 발간을 축하하며 APSF 각 국가별 대표단에게 배부하였다. 이 편람은 위에서 설명한 APSF의 회원국‘유닛로드 스쿨’의 교재를 사용 될 예정이다. 이후 중국, 일본, 한국, 필리핀, 태국 순으로 각국 대표단들이 주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대표단들은 각국의 파렛트 산업 현황과 통계, 관세절차 등 파렛트 운용에 관련한 주요 정보와 변동 사항을 소개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 2030 로드맵 선언식
-
-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 개최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8월 24일부터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산림청이 주최하고, (사)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에서 주관하며, 한국국제가구·인테리어산업대전(KOFURN)과 동시 개최한다. 올해 13회를 맞는 목재산업 박람회는 목재산업 및 전‧후방 산업간 교류를 증진하여 국내 목재산업의 판로를 개척하고, 생활 속 목재이용 문화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목재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산림청에서 조성하는 건축물에 대하여 목조건축화 선언식(8.25)을 개막식과 함께 개최하여 목재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를 형성할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목재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생활 속의 숲’이며, 친환경 소재로서 목재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라며, “목조건축화 선언식을 통해 공공분야에서부터 목조건축을 확대하여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 개최
-
-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
- 남성현 산림청장(왼쪽에서 일곱번째)이 5일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열린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식'에서 육동한 춘천시장(왼쪽에서 아홉번째) 등 주요 참석자들과 색줄자르기를 하고 있다. 남 청장은 "춘천목재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선도산림경영단지에서 나오는 국산목재를 활용하여 지역경제가 발전하고, 목재산업단지가 탄소중립 실현의 플랫폼이 되 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사진=산림청 제공>
-
- 목재
- 목재산업
-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
-
-
PB의 수입은 여전히 태국에서
- 지난 4월말 기준 MDF PB OSB 등 보드류의 국내 수입은 전년 대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목재합판유통협회는 이같은 정보를 관세청 자료를 통해 알려왔다. 이 자료를 보면 PB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태국에서 그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PB는 오랜기간동안 태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다. 이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비롯 베트남에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OSB는 루마니아와 말레이시아에 이어 캐나다에서 수입이 되고 있다. MDF도 역시 태국에서 수입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베트남과 중국에서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2023년 4월 국가별 PB (4410.11). 기타 (4410.19.4410.90))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태국 83,827 11,891 379,988 53,440 1,033,172 189,816 1,164,956 219,292 루마니아 - - - - 3 10 9 23 말레이시아 1,109 176 6,418 1,042 26,667 5,448 44,614 8,422 미국 1 - 1 - 150 93 17 29 베트남 1,304 267 3,165 661 717 148 280 61 브라질 - - - - - - - - 중국 162 50 604 194 1,421 687 29,685 6,252 칠레 - - - - - - - - 싱가포르 26 8 51 16 49 15 146 38 인도네시아 4,818 601 7,061 887 50,894 8,325 39,710 6,394 스페인 - - - - - - 5 8 이탈리아 83 88 103 161 1,041 1,298 252 486 독일 - 2 2 11 - 31 400 205 기타 22 64 30 87 191 189 1,163 491 계 91,352 13,147 397,423 56,499 1,114,305 206,060 1,281,237 241,701 ㎥ : 65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2023년 4월 국가별 OSB (4410.12) 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루마니아 201 68 2,505 697 20,051 6,956 15,736 4,672 말레이시아 1,509 293 4,412 867 21,861 5,825 17,218 3,976 미국 - - 918 386 207 97 648 646 캐나다 1,437 521 4,212 1,491 1,199 585 3,801 1,900 브라질 - - 188 59 5,253 2,053 2,980 1,190 중국 331 94 557 164 6,620 2,579 32,409 11,260 태국 359 57 538 91 28,616 5,781 14,577 2,751 독일 189 74 1,102 328 346 113 74 19 칠레 - - - 2 10,900 4,562 8,896 3,109 기타 1 4 1 4 6,947 2,723 4,166 1,441 계 4,027 1,111 14,433 4,089 102,000 31,274 100,505 30,964 ㎥ : 65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2023년 4월 국가별 MDF (4411) 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중국 830 475 5,434 2,654 24,654 12,387 26,924 13,532 인도네시아 59 39 583 273 1,513 774 2,414 663 호주 247 85 485 170 256 163 687 264 태국 15,338 3,498 64,712 14,625 142,758 38,012 136,445 33,908 말레이시아 142 61 763 347 3,202 1,519 4,555 1,990 칠레 - - - - - - - - 스웨덴 - - - - 19 28 63 90 미국 - - 4 37 77 93 28 86 독일 38 76 307 342 284 372 1,270 1,435 포르투갈 - - - - 74 75 33 34 러시아연방 43 72 44 72 19 27 28 37 베트남 1,736 1,278 5,629 4,389 24,566 18,357 25,474 14,434 뉴질랜드 32 9 168 68 222 97 1,475 326 루마니아 - - - - - - - - 기타 120 179 526 821 1,988 2,613 3,003 4,199 계 18,585 5,772 78,655 23,798 199,632 74,517 202,399 70,998 ㎥ : 70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
- 목재
- 목재산업
-
PB의 수입은 여전히 태국에서
-
-
대량생산에 성공한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 기술, 특허 공동 출원
-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산업계(동화기업)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 및 대량생산에 성공한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 기술에 관한 특허를 공동 출원했다고 밝혔다. 새로 개발된 구조용 파티클보드는 기존 파티클보드의 단점인 약한 강도와 내수성을 보강하여 장기간 수분에 노출되어도 구조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내수성을 평가하는 지표인 삶음 박리 강도와 습윤 시 휨강도를 평가한 결과, 국제 표준기준인 ISO 기준치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번에 출원된 구조용 파티클보드 제조 기술은 원재료에서부터 제조조건까지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특허로써 국내 파티클보드 제조사의 생산 기술력이 함께 어우러져 즉시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해당 특허는 기술이전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어 조만간 건축현장에 보급이 될 예정이다. 이번 구조용 파티클보드를 개발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공학연구과 이민 연구사는 “본 연구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산업화를 목표로 진행하였고, 산업계와 연계를 통한 특허기술 개발은 실사구시 이용후생을 실천하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대량생산에 성공한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 기술, 특허 공동 출원
-
-
5월25일 합법목재 신고절차 등 설명회 연다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합법벌채 수입신고 대상 확대에 따른 신고절차 등을 안내하기 위해 목재제품 수입업계와 관세사를 대상으로 5월 25일 인천 웰리더스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5월 16일부터 펄프(pulp),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섬유판, 성형목재, 단판을 수입하는 경우에도 통관 전 목재가 합법적으로 벌채되었음을 증빙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원목, 제재목, 합판, 펠릿에 대해서만 적용됐었다. 설명회에서는 합법벌채 수입신고제도 개요 및 대상품목, 수입신고 절차, 시스템 사용방법, 계도기간 운영(2023년 5월 16일부터 2024년 5월 15일까지), 번역지원, 사전상담 등 지원서비스를 자세히 안내한다. 이번 설명회는 현장 참석과 유튜브 생중계 등 원격참여 방식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유튜브 영상 참여는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설명회는 주요 세관이 있는 부산과 군산에서도 이어서 개최될 예정이다. 박은식 국제산림협력관은 “이번 설명회가 합법벌채 수입신고제도에 대한 업계 이해도를 높이고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업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원해나가겠다”라면서, 목재의 건전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5월25일 합법목재 신고절차 등 설명회 연다
실시간 목재산업 기사
-
-
2023년 파렛트의 날(11월 12일), 기념 행사
-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이하 KPCA, 회장 서병륜)는 지난 11월 6일(월) 파렛트의 날(11월12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B2 국제회의장에서 ‘제20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 제10회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KPCA가 주최하고, KPCA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국토교통부, 물류신문사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올해 행사부터는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표창 3점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 4점이 추가되었으며, 행사는 총 3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는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발표심사, 2부는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3부‘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과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시상이 진행되었다.
-
- 목재
- 목재산업
-
2023년 파렛트의 날(11월 12일), 기념 행사
-
-
창원시에서 발견된 흰개미, 10년전 유입 추정
- 창원시 진해주 주택에서 발견된 흰개미는 정부 조사 결과 10년 전 국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창원시 진해구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에 대해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범정부 합동 역학조사 결과를 9월 26일 공개했다. 이번 합동 역학조사는 환경부(국립생태원, 낙동강유역환경청), 농림축산검역본부,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원),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창원시청, 한국특수견탐지센터, 한국방역협회가 참여했다. 정부 합동 역학조사 연구진은 지난 9월 5일 최초 발견된 세대 및 주변 지역에 대해 터마트랙을 활용한 합동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초 발견 세대에서는 추가 개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주변 지역 2곳에서 동일 종 외래흰개미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최초 발견지 50m 인근 주택의 외부 목재 창틀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69마리, 최초 발견지 90m 인근 주택의 지붕 하부 목재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54마리의 군체가 각각 확인되었으며 해당 목재는 모두 해체 및 소각되었다. 터마트랙는 초음파로 목재 내부 흰개미의 진동을 감지하여 흰개미 유무를 판별하는 흰개미 전문 탐지 장비를 말한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그 외 지역(최초 발견 세대 반경 100m)에서는 외래 흰개미가 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외래 흰개미의 종 특성 및 군체 규모를 고려했을 때 최소 10년 전 국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미 정착했을 우려도 있는 만큼 정기적인 감시(모니터링)와 방제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당 지역에 외래흰개미 관련 자료를 배포하여 일반 주민도 외래 흰개미 의심 개체를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외래 흰개미는 정밀 종 분석 결과 서부마른나무흰개미(가칭, Incisitermes minor)로 밝혀졌으며, 원 서식지(미국)에서는 주로 가을에 군비를 하는 특성이 있다. 정부는 이번 최초 발견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인근 지역 방역을 실시하여 군비를 통한 추가 개체 확산을 예방할 계획이다. 또한, 인근 문화재에 대해서도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피해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혼인비행이란 흰개미·개미·벌 등 사회성 곤충이 교미를 위하여 실시하는 비행(혼인비행, swarm)이다. 김명관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흰개미는 목조 주택을 가해하는 해충이지만 자연에서는 죽은 나무, 낙엽 등을 분해하여 토양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 익충”이라면서, “국내에는 순수 목조 주택이 많지 않아 초기 발견 및 방제가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해외 사례와 같은 큰 피해는 예방할 수 있으니 외래 흰개미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지자체 및 국립나무병원(02-961-2677)에 신속한 신고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
- 목재
- 목재산업
-
창원시에서 발견된 흰개미, 10년전 유입 추정
-
-
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 2030 로드맵 선언식
-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은 지난 8월 30일에 APSF 사무국이자 회장국인 대한민국에 서울 가든호텔에서‘제18차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Asia Pallet System Federation, 이하 APSF) 정기총회 및 2030 로드맵 선언식’을 개최하였다. 서병륜 APSF 회장은 지난 2대(2008~2010)와 3대(2010~2012) 회장직을 맡은 적이 있었으며, 작년 총회에서 9대(2022~2024) 회장에 선출되어 지금까지 3회째 APSF 회장을 맡아, 아시아 물류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서병륜 회장은 이날 총회에서 “APSF 회장직을 맡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총회를 개최하게 되어 영광이며, 아시아 경제발전을 위해 아시아 지역에 친환경적인 파렛트 유닛로드 공동 물류시스템구축을 통한 아시아 순환물류체계를 확대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으며, 2030년까지 각 국의 로드맵 목표를 수립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전하며, “파렛트 재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량에 대해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평가) 분석을 통해 탄소배출 권리를 확보할 것이며, APSF 회원국 기준으로 100억매의 잠재적인 파렛트 시스템 시장을 활성화 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리고 “2006년 창립된 APSF의 사업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초창기에 추진하였던 아시아 ‘유닛로드스쿨(Unit Load School)’ 활동을 고도화된 ‘사이버 유닛로드스쿨’ 강좌로 다시 개설하여 파렛트 시스템 전문가를 양성하고, 아시아 국가 간에 표준 파렛트 풀링 시스템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아시아 국가 간 무역 활동에 APSF 일관수송용 표준 파렛트를 사용하고, 파렛트의 관세면제를 도입하기 위한 국제제도”를 만들 것이며, 그 외에도 온실가스 위기에 처한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친환경 파렛트 시스템 방안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하였다. 그리고, “물류선진국 기준 1인당 2.5매의 파렛트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APSF 회원국의 40억 인구를 통한 100억매의 잠재적인 파렛트 시스템 시장을 개척하고 활성화 하겠다.”고 밝혔다. APSF는 2006년 6월 8일 일본 동경에서 KPCA가 주도한 아시아 파렛트 표준화 추진을 위한 국제기구로 아시아 6개국 대표가 참가하여 협의 및 논의 끝에 창립되었다. 이를 통해, APSF는 한·중·일을 포함한 아시안들의 국가 간 일관 수송용 파렛트를 통한 물류 및 유통표준과 통합 유닛로드시스템(ULS, Unit Load System)을 지원하는 핵심 국제기구로 현재 KPCA가 사무국을 맡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2019년 대면총회를 마지막으로 4년만에 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제18차 APSF 정기총회는 8개국(한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회원국에서 60여 명, 국내에서는 KPCA 회원사를 중심으로 49명의 관계자가 참석하였으며, APSF 회장국인 대한민국의 서병륜 회장의 개회사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유통물류과 김정기 과장의 특별초청 연설로 시작됐다. 이어 각 국가별 ‘2030 Roadmap’의 발표가 있었다. 서병륜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아시아 파렛트 친환경 시스템 전략’이라는 주제로 △기후변화 위기와 탄소중립 정책, △아시아권 순환물류체계(RTS) 추진, △아시아 파렛트시스템의 탄소배출권 확보방안, △향후 글로벌 확대 방향 △‘2030 Roadmap’ 등을 발표했다. 이어 KPCA의 ‘유닛로드시스템 편람(영문)’의 발간을 축하하며 APSF 각 국가별 대표단에게 배부하였다. 이 편람은 위에서 설명한 APSF의 회원국‘유닛로드 스쿨’의 교재를 사용 될 예정이다. 이후 중국, 일본, 한국, 필리핀, 태국 순으로 각국 대표단들이 주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대표단들은 각국의 파렛트 산업 현황과 통계, 관세절차 등 파렛트 운용에 관련한 주요 정보와 변동 사항을 소개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파렛트컨테이너협회 서병륜 회장,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 2030 로드맵 선언식
-
-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 개최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8월 24일부터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산림청이 주최하고, (사)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에서 주관하며, 한국국제가구·인테리어산업대전(KOFURN)과 동시 개최한다. 올해 13회를 맞는 목재산업 박람회는 목재산업 및 전‧후방 산업간 교류를 증진하여 국내 목재산업의 판로를 개척하고, 생활 속 목재이용 문화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목재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산림청에서 조성하는 건축물에 대하여 목조건축화 선언식(8.25)을 개막식과 함께 개최하여 목재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를 형성할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목재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생활 속의 숲’이며, 친환경 소재로서 목재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라며, “목조건축화 선언식을 통해 공공분야에서부터 목조건축을 확대하여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8월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 개최
-
-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
- 남성현 산림청장(왼쪽에서 일곱번째)이 5일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열린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식'에서 육동한 춘천시장(왼쪽에서 아홉번째) 등 주요 참석자들과 색줄자르기를 하고 있다. 남 청장은 "춘천목재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선도산림경영단지에서 나오는 국산목재를 활용하여 지역경제가 발전하고, 목재산업단지가 탄소중립 실현의 플랫폼이 되 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사진=산림청 제공>
-
- 목재
- 목재산업
-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 '춘천목재산업단지 준공
-
-
PB의 수입은 여전히 태국에서
- 지난 4월말 기준 MDF PB OSB 등 보드류의 국내 수입은 전년 대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목재합판유통협회는 이같은 정보를 관세청 자료를 통해 알려왔다. 이 자료를 보면 PB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태국에서 그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PB는 오랜기간동안 태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다. 이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비롯 베트남에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OSB는 루마니아와 말레이시아에 이어 캐나다에서 수입이 되고 있다. MDF도 역시 태국에서 수입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베트남과 중국에서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2023년 4월 국가별 PB (4410.11). 기타 (4410.19.4410.90))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태국 83,827 11,891 379,988 53,440 1,033,172 189,816 1,164,956 219,292 루마니아 - - - - 3 10 9 23 말레이시아 1,109 176 6,418 1,042 26,667 5,448 44,614 8,422 미국 1 - 1 - 150 93 17 29 베트남 1,304 267 3,165 661 717 148 280 61 브라질 - - - - - - - - 중국 162 50 604 194 1,421 687 29,685 6,252 칠레 - - - - - - - - 싱가포르 26 8 51 16 49 15 146 38 인도네시아 4,818 601 7,061 887 50,894 8,325 39,710 6,394 스페인 - - - - - - 5 8 이탈리아 83 88 103 161 1,041 1,298 252 486 독일 - 2 2 11 - 31 400 205 기타 22 64 30 87 191 189 1,163 491 계 91,352 13,147 397,423 56,499 1,114,305 206,060 1,281,237 241,701 ㎥ : 65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2023년 4월 국가별 OSB (4410.12) 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루마니아 201 68 2,505 697 20,051 6,956 15,736 4,672 말레이시아 1,509 293 4,412 867 21,861 5,825 17,218 3,976 미국 - - 918 386 207 97 648 646 캐나다 1,437 521 4,212 1,491 1,199 585 3,801 1,900 브라질 - - 188 59 5,253 2,053 2,980 1,190 중국 331 94 557 164 6,620 2,579 32,409 11,260 태국 359 57 538 91 28,616 5,781 14,577 2,751 독일 189 74 1,102 328 346 113 74 19 칠레 - - - 2 10,900 4,562 8,896 3,109 기타 1 4 1 4 6,947 2,723 4,166 1,441 계 4,027 1,111 14,433 4,089 102,000 31,274 100,505 30,964 ㎥ : 65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2023년 4월 국가별 MDF (4411) 수입실적 국가명 2023년 4월 2023년 누계 2022년 누계 2021년 누계 ㎥ 천$ ㎥ 천$ ㎥ 천$ ㎥ 천$ 중국 830 475 5,434 2,654 24,654 12,387 26,924 13,532 인도네시아 59 39 583 273 1,513 774 2,414 663 호주 247 85 485 170 256 163 687 264 태국 15,338 3,498 64,712 14,625 142,758 38,012 136,445 33,908 말레이시아 142 61 763 347 3,202 1,519 4,555 1,990 칠레 - - - - - - - - 스웨덴 - - - - 19 28 63 90 미국 - - 4 37 77 93 28 86 독일 38 76 307 342 284 372 1,270 1,435 포르투갈 - - - - 74 75 33 34 러시아연방 43 72 44 72 19 27 28 37 베트남 1,736 1,278 5,629 4,389 24,566 18,357 25,474 14,434 뉴질랜드 32 9 168 68 222 97 1,475 326 루마니아 - - - - - - - - 기타 120 179 526 821 1,988 2,613 3,003 4,199 계 18,585 5,772 78,655 23,798 199,632 74,517 202,399 70,998 ㎥ : 700kg/m3을 적용하여 환산함 / 자료출처 : 관세청
-
- 목재
- 목재산업
-
PB의 수입은 여전히 태국에서
-
-
대량생산에 성공한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 기술, 특허 공동 출원
-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산업계(동화기업)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 및 대량생산에 성공한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 기술에 관한 특허를 공동 출원했다고 밝혔다. 새로 개발된 구조용 파티클보드는 기존 파티클보드의 단점인 약한 강도와 내수성을 보강하여 장기간 수분에 노출되어도 구조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내수성을 평가하는 지표인 삶음 박리 강도와 습윤 시 휨강도를 평가한 결과, 국제 표준기준인 ISO 기준치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번에 출원된 구조용 파티클보드 제조 기술은 원재료에서부터 제조조건까지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특허로써 국내 파티클보드 제조사의 생산 기술력이 함께 어우러져 즉시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해당 특허는 기술이전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어 조만간 건축현장에 보급이 될 예정이다. 이번 구조용 파티클보드를 개발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공학연구과 이민 연구사는 “본 연구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산업화를 목표로 진행하였고, 산업계와 연계를 통한 특허기술 개발은 실사구시 이용후생을 실천하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대량생산에 성공한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 기술, 특허 공동 출원
-
-
5월25일 합법목재 신고절차 등 설명회 연다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합법벌채 수입신고 대상 확대에 따른 신고절차 등을 안내하기 위해 목재제품 수입업계와 관세사를 대상으로 5월 25일 인천 웰리더스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5월 16일부터 펄프(pulp),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섬유판, 성형목재, 단판을 수입하는 경우에도 통관 전 목재가 합법적으로 벌채되었음을 증빙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원목, 제재목, 합판, 펠릿에 대해서만 적용됐었다. 설명회에서는 합법벌채 수입신고제도 개요 및 대상품목, 수입신고 절차, 시스템 사용방법, 계도기간 운영(2023년 5월 16일부터 2024년 5월 15일까지), 번역지원, 사전상담 등 지원서비스를 자세히 안내한다. 이번 설명회는 현장 참석과 유튜브 생중계 등 원격참여 방식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유튜브 영상 참여는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설명회는 주요 세관이 있는 부산과 군산에서도 이어서 개최될 예정이다. 박은식 국제산림협력관은 “이번 설명회가 합법벌채 수입신고제도에 대한 업계 이해도를 높이고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업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원해나가겠다”라면서, 목재의 건전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5월25일 합법목재 신고절차 등 설명회 연다
-
-
합법목재증명, 펄프 파티클보드 섬유판 성형목재 단판으로 확대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목재제품 수입 시 목재가 합법적으로 벌채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대상품목이 5월 16일부터 펄프(pulp),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섬유판, 성형목재, 단판으로 확대된다고 밝혔다. 합법벌채 수입신고제도는 불법벌채로 인한 산림파괴를 막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8년 도입되어 지금까지는 원목, 제재목, 합판, 펠릿에만 적용되어왔다. 신고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목재제품의 합법벌채 입증 대상이 45%에서 83%로 크게 늘어 국내 목재제품의 투명성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관련 업계의 부담 경감을 위해 2024년 5월 15일까지 1년 동안 계도기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계도기간 중에는 신고에 미흡한 점이 있더라도 벌칙적용이 면제된다. 이는 수입업체가 연간계약을 체결해 입증서류를 즉시 구비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것이다. 수입신고 후 보완이 필요한 경우 신고 결과와 함께 안내받을 수 있다. 산림청은 업계의 부담을 완화하고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인천, 부산 등 주요 세관이 있는 지역에서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산림청 누리집에 교육 동영상, 수출국별 입증서류 양식 등을 게재할 예정이다. 박은식 국제산림협력관은 “수입 목재의 건전성 입증을 강화해 목재의 건전한 소비를 촉진하고 국내 목재산업계의 원료 투명성을 높여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목재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합법목재증명, 펄프 파티클보드 섬유판 성형목재 단판으로 확대
-
-
목재생산업 등록, 목재법 개정으로 공동사무실 사용 허용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16일 「목재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하여 목재생산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영세한 사업자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규제개선을 추진하였다. 기존에는 목재생산업 등록 시 각각의 목재생산업체가 기술인력, 사무실, 자본금을 갖추도록 하였으나 이번 규제개선으로 둘 이상의 목재생산업체가 사무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목재생산업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해 사무실 임대 또는 구입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번 개정으로 규제개선내용이 적용되는 목재생산업체는 2022년말 기준 6,421개이며, 이미 등록된 업체와 신규로 등록하려는 업체 모두에 적용된다. 목재생산업은 산지에서 입목을 수확하여 유통하거나, 목재를 가공하여 목재제품을 생산․유통 또는 목재제품 등을 수입․유통하는 사업을 말하며,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따라 반드시 등록해야 한다. 산림청 조영희 목재산업과장은 “목재이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목재산업에 진입장벽이 되거나 경영에 부담이 되는 규제를 발굴하고 개선해 국민이 체감하는 규제혁신을 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목재생산업 등록, 목재법 개정으로 공동사무실 사용 허용
-
-
‘중층 건축용 프리패브 전단벽’ 기술 개발,경민산업과 서울대 산학협력단 합작품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이강오)은 4월 28일 경민산업㈜(연구책임자 이한식)과 “산림과학기술 출연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국산재 파티클보드를 활용하여 건축현장에서 조립·부착만으로 시공을 끝낼 수 있는 ‘중층 건축용 프리패브 전단벽’ 기술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파티클보드는 분쇄된 나무를 판자 형태로 압착한 자재로 간벌목, 폐목재와 같은 미이용 목재 자원을 활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다만 내구성과 강도가 다소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소가구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 목조건축 실현을 위한 중층 건축용 프리패브 전단벽시스템 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인 경민산업㈜(연구책임자 이한식)은 파티클보드와 구조용 목재를 접착하고 단열재를 삽입하여 사전제작 프리패브(Pre-fab) 조립식 전단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리패브 시스템은 기존 구조에 비해 우수한 하중 저항 성능과 내화 성능을 갖추었다. 저층뿐만 아니라 바람과 지진의 영향을 크게 받는 중층건축물의 건설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은 파티클보드 전단벽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신소재에 맞는 스마트 건축 시공기술까지 확보했다. 프리패브 전단벽 시스템이 산업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다면 목조 건축 시공 시 공사기간과 현장 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연구개발기관인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오정권)에서는 프리패브 전단벽 시스템의 사업화를 위해 두께와 시간에 따라 내화성능을 추정할 수 있는 ‘내화피복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등록했다. 또한 개발 기술을 보급을 위해 프리패브 목조 전단벽 설계·시공 사례집을 제작하여 배포할 계획이다. 해당 연구는 산림청(청장 남성현)의 ‘목재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개발’ R&D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국산재 및 미활용 목재자원의 목조건축 시장 활성화 가능성을 높인 성과를 인정받아 ‘2023년 산림과학기술 출연R&D사업 최종평가’에서 우수등급을 획득했다. 이강오 원장은 “해당 성과는 건축분야의 국산재 활용 연구의 마중물이 될 것이며 이러한 성과가 실제 중층이상 목조건축에 활용될 수 있도록 산림부문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목재
- 목재산업
-
‘중층 건축용 프리패브 전단벽’ 기술 개발,경민산업과 서울대 산학협력단 합작품
-
-
"MDF 그리고 마루, 목분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디에 사용될까요?"
- 주식회사 한솔홈데코(대표이사 김경록 서울 동작구 보라매로 5길 15, 전문건설회관 27층)의 주요 생산품목은 중밀도섬유판(MDF)과 가구도어용 보드 그리고 바닥재 등을 포함한 인테리어 자재입니다. 한솔홈데코의 대략적인 지난해 경영을 말씀 드립니다. 한솔홈데코는 지난해 주요 품목인 MDF의 내수 가격은 m3당 전년 대비 6만4천원 오른 39만1천원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한솔홈데코는 지난해 2천8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다른 상장사와 비교 좀 부진합니다만 폼목의 한계로 보고 있습니다. 한솔홈데코는 지난해 익산공장 기준 MDF의 경우 28만8천m3의 생산 실적을 달성하였고,가동률은 85.7%입니다. 수출을 보시죠. 수출은 매출액 비교 0.3%인 7억5천200만원을 판매했습니다. 이번엔 한솔홈데코가 밝인 각종 제품의 생산방법과 과정 그리고 그 용도에 대해 한솔홈데코 입장에서 살펴 봅니다. *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 중밀도 섬유판), PET 등 MDF는 원목 및 폐목재에서 fiber(섬유질)를 추출하여 수지(접착제 역할)와 혼합한 후 고온고압으로 압착하여 성형한 목질판상재로 목재와 합판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두께 및 규격이 합판에 비하여 제한이 없습니다. 그 두께는 2.8㎜ ~ 35㎜, 폭은 2.44m, 길이는 4.88m가 보통입니다. 나무의 결이 없어 가공이 용이합니다. 제품의 주요 용도는 일반가구(옷장, 이불장, 책장, 침대 등), 사무용 가구, 건축용 내장재(도어,문틀,벽체), 산업재(포장 박스, 파렛트 상판 등), 선박, 자동차 내장재, 강화마루 중간재 입니다. PET Board는 인체에 무해한 PET시트를 친환경 공법으로 MDF 표면에 접착한 보드로서, 고급 주방가구 및 붙박이장 도어에 주로 사용됩니다. * 마루 마루는 내수성을 강화한 SB마루,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마루, 표면을 한층 강화한 강화마루 등 용도와 장점이 다양합니다.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오버레이, 다양한 디자인의 모양지, 방수처리된 MDF, 상하의 균형을 잡아주는 백커지를 고온고압으로 압착시킨 후 마루판 모양으로 절단하고 홈파기 작업으로 완성된 바닥재입니다. 내마모처리로 충격, 긁힘, 오염 등의 표면손상이 적고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가정용(거실, 방 바닥재), 상업용(상가, 사무실 바닥재), 교실용(학교, 체육관, 헬스장 바닥재)으로 사용됩니다. * 목분 목분은 MDF 및 강화마루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톱밥 및 부산물을 가공, 미세분말화하여 만든 가루로서 친환경 복합재 및 천연 충진제로 사용됩니다. * 인테리어 인테리어 부문은 주거/상업공간에서 필요한 걸레받이, 천정재, 평면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면, 문틀 등에 사용되는 마감재 입니다. * 전력, 스팀 주요 제품인 MDF(중밀도 섬유판)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목재, 소각 보일러 등을 사용하여 스팀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생산된 스팀에너지를 이용하여 제품제조과정에 재투입하고 여분의 스팀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조림 한솔홈데코의 조림 수종은 라디에타 소나무(Radiata Pine)로 주로 건설자재 및 펄프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한솔홈데코의 지난해 구체적인 매출을 살펴 봅니다.
-
- 목재
- 목재산업
-
"MDF 그리고 마루, 목분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디에 사용될까요?"
-
-
남성현 산림청장, '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와 소통 간담회'
- 남성현 산림청장(왼쪽 세번째)이 24일 서울 영등포구 산림비전센터에서 열린 '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 소통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남 청장은 목재산업분야 시설 · 장비 지원, 목재수요 확대 사업 추진, 목재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등 목재산업분야 산림정책 및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했다.<사진=산림청 제공>
-
- 목재
- 목재산업
-
남성현 산림청장, '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와 소통 간담회'
-
-
산림과학원,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 일부 개정
-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2월 17일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 일부를 개정하여 관보에 게재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에서 제시하는 15개의 목재제품 중 제재목에 해당하는 부속서 1의 내용을 대폭 개정하였는데, 주요 개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제품에 대해 전수검사 하던 제재목의 등급 검사를 일반용재의 경우 샘플링 검사가 가능해졌다. 둘째 제재목의 함수율 검사방법은 전건중량법 이외의 방법이 가능해졌는데, 자체검사공장을 지정하는 기관인 한국임업진흥원에서 함수율 측정기의 적합성을 검증받으면 등급평가사가 함수율 측정기로 함수율 검사를 할 수 있다. 전건중량법은 시험편을100~105℃의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항량에 도달하였을 때의 중량을 말한다. 셋째 생재로 사용되는 제재목의 경우 함수율 기준을 삭제하여 함수율 검사를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인수‧인도 당사자 간의 협의에 따라 동일 수종이 같은 용도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최소 유통 단위 묶음으로 품질표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개정된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 전문은 산림청 홈페이지(www.forest.go.kr) 또는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www.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배재수 원장은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민의 안전과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목재제품의 품질기준을 개선하고 있다.”라며, “이번 개정은 제재목의 품질검사 방법과 기준을 완화하여 제재목을 생산‧유통하는 업계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다.”라고 말했다.
-
- 목재
- 목재산업
-
산림과학원,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 일부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