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6-12(목)
 

<김종호 칼럼> 산림청이 대형 산불 관련 산불임도를 확대한다고 밝힌것과 관련 어쩐지 입맛이 씁쓸하다. 그 이유는 경남북의 엄청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난후 처방된 조치이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의료청인가. 왜 의사처럼 사후 처방하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강하게 든다. 산림일보는 지난 20년전부터 산림경영과 관리 및 산불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위해 임도를 대대적으로 조성할 것을 주기적으로 요구해 왔다. 예방 차원이다. 사고가 나기 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산림청은 오리발조차 내밀지 않고 모르는 척 먼산만 바라보고 있었다. 이제 경남북의 대형 산불로 인해 엄청난 재산과 인명피해가 발생하자 슬쩍 산불임도를 확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매사에 이런식으로 나오는 산림청을 그저 지켜만 보고 있을 것인가. 이참에 산불임도 확대와 더불어 임도를 대대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산림선진국인 독일의 헥타르당 50m는 달성해야 한다. 임도는 산림경영의 기본이다. 이 임도를 만들지 않는이상 한국은 산림후진국에 머물것이다. 독일처럼 헥타르당 50m를 넘어야 비리소 산림선진국이 될 것이다.

 

헥타르당 50m가 당장 어렵다면 일본처럼 20m라도 넘기를 바란다. 임도를 확대하면서 수종갱신 사업도 대대적으로 단행해야 할 것이다. 이 수종갱신 사업은 산림일보에서 귀에 딱지가 붙을 정도로 주장해 왔다.

 

농지엔 가치있는 농산물을 심어 재배하듯, 산림에도 가치 있는 수종을 조림해서 가꾸어야 함은 산림경영의 기본이다. 알다시피 우리나라 산림은 지난 1960년 70년대 조림과정에서 어쩔수 없이 척박한 토질에서도 살수 있는 비경제수종을 조림했다.

 

이제 그 수종을 벌목하고 경제수종으로 바꾸어야 한다. 이 수종갱신 사업은 산림청의 의무일 것이고 국민의 숙원 사업이 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산림청의 행태를 종합해 보면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사람이 죽거나 집이 불에 타고 산사태가 나 난리가 나야 비로서 몸을 움직이는 산림청이기 때문이다.

 

몸이 아프면 병원 가서 처방받으면 기분이 보통 좋아지는데, 산림청의 이번 경남북 대형 산불과 관련 처방은 어쩐지 불쾌하다. 처방하지 말고 예방하기를 간곡히 부탁하는 것도 이제 포기할때가 되었는가.

 

그러나 산림은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어떤 과제 때문에 계속해서 산림청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산림이 왜 앞으로 진전되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가. 가만 생각해 보면 이해가 가기도 한다. 관심을 받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이다.

 

정치와 비교한다면 산림청은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다. 그만큼 국민에게 관심이 없다. 정치와 경제 등은 세밀한 부분까지 관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산림은 관심부족일 뿐만 아니라 잘못된 인식까지 쌓여 있다. 나무는 자르면 안된다 는 인식, 숲의 수종을 고려하지 않는 인식, 숲은 환경이라는 인식, 그래서 바라 보고만 있어도 좋은 산림, 이러한 인식은 바로 고쳐져야 한다. 

 

산림청에서 어떤 산림의 수종을 벌목한 다음 산림 사업이라도 좀 벌이면 환경론자들이 벌떼같이 몰려 들어 산림청을 마구 비난한다. 언론까지 가세해서 비난한다. 이에 국민들은 동조한다. 이러니 산림청이 두려워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얼마전 MBC에서 '산사태 발생은 임도 때문'이라는 보도는 참으로 답답한 지경에 이른다. 더구나 멘트를 준 사람이 바로 국립공원관리단 직원이었다. 이렇게 산림을 두고도 생각이 다르다.

 

이제 산림청은 처음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처음부터 대국민 홍보부터 시작하라. 이것은 산림청의 운명이다. 산림청은 지난 1960년대 조림과정에서 '나무를 베면 죄' 라는 멍에를 국민에게 씌웠다. 그 멍에가 바로 산림환경으로 집약되었다. 그래서 산림의 나무를 벌목하면 바로 죄인 취급을 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산림은 경영하는 것이다. 산림은 토지이다. 그 토지위에 식물을 키워 환경적 경제적 과학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산림은 환경도 되지만 경제도 되고 과학도 된다. 때문에 산림을 환경으로만 보는 시각은 잘못된 것이다.

 

산림의 나무들은 사람 수명과 같이 그들도 수명이 있다. 또 젊은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많이 먹고 산소를 많이 내 놓는다. 때문에 조림과 벌목은 지속가능해야 하는 것이다. 벌목도 벌기령에 맞추어 벌목하고 그 자리에 다시 경제수종을 조림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선진산림경영이고 바람직한 산림경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 되는 것이다. 산림청은 앞으로 처방보다는 예방을 마음에 두고 정책과 행정을 펼치기를 바란다. 산림은 결코 붙들고 보존해야만 하는 환경이 전부가 아니다.


- 김종호

건국대 졸업

신문기자

kjh.jpg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종호 칼럼 - "대형산불후 임도확대를 보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