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림에서 자라는나무는 어떤 수종이 얼마나 있을까요? 2024년 기준 대한민국 전체 산림을 대상으로 말씀드려 볼께요.
- 참나무류의 분포 현황
참나무류(떡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는 전체 산림 면적의 약 25~30% 정도 차지하고 있습니다. 참나무류는 활엽수림의 중심 수종으로, 특히 중·남부 지역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어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산지에서는 매우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고, 북부 지역(강원도, 경기 북부 등)은 침엽수(잣나무, 소나무 등)의 비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
- 소나무류의 분포 현황
소나무림은 전체 산림 면적의 약 23~25% 차지하고 있습니다. 소나무만 따로 보면 약 115만 ha 정도입니다. 침엽수림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죠. 그 외 침엽수로는 잣나무, 낙엽송, 전나무 등이 있습니다.
지역 분포 특징은 강원도·경상북도·경기도 북부 등 중·북부 지역에서 많이 분포하고, 남부 지방으로 갈수록 참나무류나 활엽수 비중이 증가합니다.
- 기타 수종
기타 침엽수가 10% 내외이며 기타 활엽수가 30-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기타 활엽수의 수종은 신갈나무(일부는 참나무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독립 분류되기도 함), 자작나무((북부, 고산지대에 분포. 백색 수피가 특징), 느티나무(도시, 농촌 주변에도 흔하며 큰 그늘을 만드는 나무), 물푸레나무(강가, 계곡 등 습지에서 잘 자람), 피나무(잎이 부드럽고 향이 있어 꿀벌에게 인기), 밤나무(중부 이남 지역에 많고, 열매(밤)는 식용 자원), 단풍나무류(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고 경관수로도 인기), 산벚나무(봄철 경관 가치, 일부 지역 자연림 구성 수종), 개옻나무, 붉나무(황폐지 복원용, 생태적 가치가 높음), 노각나무, 때죽나무(남부지방 중심 분포, 꽃이 아름다움) 등입니다.
혹시 산림과 관련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댓글로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