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호 칼럼 -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인식 전환하라"
<김종호 칼럼> 올해들어 소나무재선충병은 전국 곳곳 산림에 크게 확산된 상태이며, 방제 예산도 1천32억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박멸은 어렵고 확산방지조차도 장담할수 없어 정책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지난 1988년 부산 동래구 금정산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당시 지방 어느 지역 한 곳에 다시 발생할 경우 산림청은 그 방제를 위해 난리를 떨었다. 바로 박멸될 것 같은 소나무재선충은 해마다 증가했으며, 산림청은 그에 따라 예산을 늘리고 인력을 확충해서 투입했다.
소나무재선충은 우리나라에 오기 전에 이미 일본에 창궐해 일본은 방제를 포기하고 수종갱신을 선택했다. 그후 일본은 거의 전 산림에 분포하는 소나무를 벌목하고 대규모로 경제수종 위주로 수종갱신을 단행했다. 요즘 한국은 일본에서 편백 삼목을 비롯 가문비나무 전나무 등 온갓 경제수종의 원목과 가공목을 수입하고 있다. 일본은 솎아베기를 통해 목재를 수출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산림청은 입으로는 '기필코 박멸 하겠다' 고 외치지만 그동안 시늉만 내는 그야말로 탁상행정 거짓행정 사기행정을 일삼아 오고 있었던 사실이 오늘에 이르러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소나무재선충은 박멸은 커녕 그 증가 상태가 전국에 걸쳐 만연하고 있어, 이제 더이상 방제를 할수 없을 지경에 와 있다. 한마디로 소나무재선충이 전국 소나무 산림을 삼켜버린 것이다.
이에 지금도 산림청은 박멸을 포기하지 않고 하는 시늉만 하고있다. 이러한 행위를 누가 막을 것인가. 임상섭 산림청장은 가을철을 맞아 전국 지자체를 순회하며 관계자와 소나무재선충 방제에 관해 토론회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소나무재선충이 발발한지 36년이 지났건만 아직도 그 원인과 방법을 찾고 있는 것이다.
산림청은 2024년 소나무재성충과 관련 방제 예산은 모두 1천32억원이다. 이중 국비가 776억원, 지방비가 257억원이다. 사업량을 보면 피해목 등 제거로 51만그루, 나무주사는 5천369ha, 지상방제 3천ha, 훈증더미제거 35만1천개, 페로몬 트랩 600ha, 감염목 검사요원 61명, 복합방제 47개소, 무인항공방제 6천185ha이다.
각 시도별 예산 배정을 보면 서울이2억5천800만원, 부산이 13억3천400만원, 대구가 44억1천500만원, 인천이 9천800만원, 광주가 6억6천400만원, 대전이1억8천200만원, 울산이 68억4천200만원, 세종이 1억1천400만원, 경기도가 73억1천800만원, 강원도가 20억9천600만원, 충북이 10억2천100만원, 충남이 16억6천800만원, 전북이 17억8천200만원, 전남이 47억8천600만원, 경북이 292억2천300만원, 경남이 267억8천200만원, 제주도가 40억8천600만원 등이다.
전국 산림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을 보자. 2023년 12월 기준이다. 서울의 경우 노원과 용산 등 5개지역이다. 부산은 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등 15개 지역이다. 대구는 달성군 등 7개 지역, 광주는 광산구 등 4개 지역, 대전은 유성구 1개지역, 울산은 울주군 등 5개 지역, 세종은 세종 1개지역, 경기도는 광주 남양주 포천 용인 등 20개 지역이다.
또 강원도는 춘천과 정선 등 11개 지역, 충북은 단양 청주 등 7개지역, 충남은 보령과 서천 등 14개 지역, 전북은 임실과 순창 등 10개 지역, 경북은 구미 칠곡 경주 등 22개 지역, 경남은 함안 진주 통영 등 18개 지역, 제주는 제주와 서귀포 등 2개 지역이다. 전국에서 소나무재선충이 발생한 지역이 모두 159개 시구군이다.
지난 1988년 최초 발생 이후 해마다 증가해온 결과다. 이제 곤충피해 등의 이유로 항공방제도 어렵게 된 마당에 무슨 방법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잡겠다는 말인가. 임상섭 산림청장은 용기를 내어 소나무재선충 대상 수종인 소나무와 잣나무를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 모조리 개벌을 통해 경제수종으로 수종갱신의 특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 김종호
건국대 졸업
신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