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8(금)
 

강원특별자치도 산림과학연구원은 낙엽송 조직배양묘·실생묘 생육특성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산지 생육특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추진하였다고 밝혔다.

 

nys1115.jpg

 

낙엽송은 생장이 빠르고 재질이 우수하여 미래 목재자원 확보를 위한 경제수종으로 조림 면적은 ‘22년 기준 4,172ha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종자 결실 주기가 5년 이상이며, 기후변화로 인하여 종자 충실률이 불규칙해 종묘 공급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자 공급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자 2016년부터 조직 배양묘 생산·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낙엽송 조직배양묘 모니터링은 춘천시 서상리 도유림에 조림한 낙엽송 클론묘 3,000본을 대상으로 향후 10년간 수고, 흉고직경 등 생육특성을 실생묘와 비교하여 조직배양 클론묘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실용화 기술개발을 할 예정이다.

 수고 나무의 높이이며, 흉고직경이란 자라는 나무의 뿌리부터 1.3미터 부분의 지름이다.

 

강원특별자치도산림과학연구원(원장 채병문)은 “낙엽송을 포함한 우수한 형질을 가진 용재수의 클론 증식 및 보급을 위해 대량생산 기술 개선 연구를 통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강원도 경제수종의 생산량향상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강원도, 낙엽송 조직배양묘·실생묘 생육특성 모니터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